본문 바로가기
2023년 연말정산 달라진 것들(feat.13월의 월급) 공제율이 향상된 2023년 연말정산 '13월의 월급'이라고 불리는 연말정산을 위한 준비기간이 다가오고 있습니다. 올해는 대중교통 공제율 향상과 무주택 세대주를 위한 공제 한도가 상승되었다고 합니다. 내용 바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Summary ■ ■ 13월의 월급을 받기 위해 연말정산 '간소화자료 일괄제공 서비스'가 1월 15일에 시작됩니다. ■ 국세청은 "지난해 근로소독이 있는 모든 근로자는 올해 2월분 급여를 지급받기 전까지 연말정산을 마무리"해야 한다고 밝혔습니다. ■ 2023년은 대중교통 이용료 공제범위가 7월부터 12월까지 지출한 금액에 대한 공제율이 기존 40%에서 80%로 2배 확대된다고 밝혔습니다. 또한, 신용카드와 전통시장 소비증가분에 대한 소득공제가 20%가 적용되는데 전년대비 .. 2023. 1. 4.
꼭 알아야할 연말정산 꿀팁(feat.절세) 13월의 월급을 위해 준비합시다. 직장인들은 연말정산을 앞두고 세금을 뱉어내게 될지 걱정하시는 분들이 매년 계실 거라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준비했습니다, 연말정산 절세 꿀팁 7가지를 보고 바로 따라 해 보세요. ● 절세방법을 간단하게 7가지로 분류해보았으니 바쁘신 분은 요약내용을 보시고 더 알고 싶으신 분들은 아래쪽에서 자세하게 설명하겠습니다. ■ Summary ■ 1. 국세청 홈택스에서 내 환급액 미리 조회해 보기 2. 신용카드와 체크카드를 공제율에 맞춰 적절하게 사용하기 3. 인적공제와 의료비 공제 혜택을 전략적으로 몰아두기 4. 주택청약통장 활용하기 5. 연금저축과 퇴직연금 가입하여 공제받기 개인연금저축(연금저축계좌) 개설 개인연금저축(연금저축계좌) 개설 개인연금저축의 중요성 다들 개인연금저축계좌를.. 2022. 12. 27.
출산휴가과 육아휴직 연말정산 출산휴가, 육아휴직시 연말정산 방법 연말정산은 혼자 일 때도 중요하지만 가족이 있다면 더욱더 중요하게 여겨질 텐데, 본인이나 배우자가 출산휴가 또는 육아휴직 중일시 연말정산은 어떻게 해야 할까 궁금하신 분 많을 거라고 생각합니다. 오늘은 출산휴가, 육아휴직 중 연말정산 방법에 대해 바로 알아보겠습니다. 그리고 추가적인 연말정산 공제 혜택도 같이 알아보시죠 ■ Summary ■ ■ 연말정산은 어떻게 준비하느냐에 따라서 세금을 절약할 수 있는 금액이 달라지며, 내가 놓치고 있는 것이 없는지 본인이 잘 확인해야 합니다. ■ 먼저 본인이 어떤 기준에 속하는 연말정산 대상자인지 확인해야 합니다. 휴직자의 경우 총급여가 500만 원 이상인지 이하인지 여부에 따라 다르게 적용됩니다. ■ 출산과 육아에 관련된 연말정산.. 2022. 12. 26.
신용카드 발급조건 및 방법, 카드 선택 신용카드 발급 조건과 선택 기준 학생 때부터 신용카드를 만드는 사람도 있겠지만 대부분 저와 같이 취업 후 첫 신용카드를 발급받으려고 발급 조건과 방법 그리고 어떤 카드를 골라야 할지 고민들 많이 할 거라고 생각하며, 실제로 우리나라 성인 1인당 4장의 신용카들을 보유하고 있다고 하니 사용액수도 만만치 않을 것 같습니다. 그러면 신용카드 발급 조건과 장단점, 선택까지 알아보겠습니다. 신용카드 발급 조건과 방법 신용카드 발금 심사는 여신금융협회에서 제공하는 신용카드 발급 및 이용한도 부여에 관한 모범규준에 따라 이루어지며, 금융감독원의 관리, 감독을 받습니다. 모범규준 제2장 제4조에 신용카드 발급 조건과 방법을 간단하게 나열하겠습니다. 발급 조건 1. 신용카드 발급 심사 기준일 현재 민법에서 정한 성년 연.. 2022. 12. 14.
IRP 퇴직연금 계좌 개설 '13월의 월급'과 노년을 대비하기 위해 꼭 필요한 IRP 퇴직연금 계좌 개설과 IRP 계좌를 개설하여 운용 시 얻을 수 있는 혜택에 대해서 지금 바로 알아보겠습니다. IRP 개설 방법과 세부 정보 ■ Summary ■ □ IRP 계좌 개설은 증권사 모바일 웹으로 비대면으로 간편하게 개설이 가능하며, 소득이 있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가능합니다. 직장인, 공무원, 교직원, 자영업자, 군인 모두 가능하며 프리랜서도 가입할 수 있습니다. □ 매년 1년 동안 700만 원 내에서 여유 있는 만큼 노후를 대비해서 입금하는 게 좋으며, 1개월마다 약 58만 원 입금하는 것이 균형이 맞아 부담을 덜어줄 수 있겠습니다. 1년간 총 700만 원을 입금 시 세액공제 혜택을 최대한 많이 받을 수 있습니다. □ IRP 계좌 내에.. 2022. 12. 5.